2023. 4. 14. 17:55ㆍ카테고리 없음
작년부터 중국산 전기버스가 서울 도심을 많이 달리고 있습니다. 가격 경쟁력은 물론이고 기술 경쟁력까지 수준이 올라오면서 국산 전기버스를 위협하고 있는데요. 요즘 전기버스의 숫자도 늘어나는 가운데 중국산 전기버스가 인기가 많다는 것은 눈여겨볼 만한 현상인 것 같습니다. 전기버스의 성장 추세와 중국산 전기버스의 인기이유, 그리고 앞으로의 전망이 어떨지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전기버스 보급
전기버스는 2015년과 2022년을 비교해봤을 때, 약 58배로 늘어났습니다. 2015년에 22대였던 전기버스는 2020년 1276대로 증가했습니다. 전기버스가 증가한 이유는 명확한 이점이 있기 때문입니다. 2050 탄소중립 달성을 위해 중앙 정부 부처와 지자체가 보조금을 주고 있다는 것이 이유이고요. 그 외에 배출가스가 발생하지 않고 소음이 적으며, 연료비와 유지보수비가 내연기관 버스에 비해 저렴하기 때문에 운송사 입장에서도 비용 절감이 가능하기 때문입니다.
중국산 전기버스의 인기
중국산 전기버스는 2022년 국내 시장 점유율을 50%까지 차지하면서 인기를 끌고 있습니다. 수입액은 2017년에 비해 약 10배 규모로 커졌고, 국내 전기버스 업계에는 긴장감이 돌고 있습니다.
중국산 전기버스가 인기를 끌게된 이유에는 첫번째로 가격경쟁력이 있는데요.
국산 전기버스의 절반 정도의 가격에, 보조금까지 더해지면 1억원 정도에 구매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최근 보조금 관련 규정이 바뀌면서 이런 가격 경쟁력이 계속 될지 여부는 불투명해졌습니다. 배터리 에너지 밀도에 따라 보조금을 차등 지급하는 규정이 생기면서 400 Wh/ℓ(부피 당 에너지 밀도) 에 못 미치는 대부분의 중국산 전기버스는 보조금을 절반 정도 받게 받지 못하게 될 예정입니다. 그래서 중국산 전기버스 업체들은 반발하고 있지만, 한 편으로는 수입산 전기버스에 보조금을 아예 주지 않았던 중국에 비교해볼때, 형평성이 맞춰졌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두번째 이유로는 손쉬운 인증이 있습니다. 자국의 안전 인증을 통과하면 국내에서는 따로 인증을 받을 필요가 없기 때문에 중국의 인증을 통과한 전기버스들이 쉽게 국내로 들어오고 있기 때문입니다. 반대로 국내 업체가 생산한 전기 버스는 국토부의 수십가지 인증을 거쳐야하기 때문에 까다롭습니다.
세번째 이유로는 독점방지쿼터제입니다. 서울시의 경우 제조사의 독점을 막기 위해 운수사별로 특정 제조사의 차량이 50%를 넘지 못하게 쿼터를 마련해놓고 있기 때문입니다.
네번째 이유로는 우수한 배터리 성능입니다. 중국산 버스는 1번 충전으로 하루 종일 운행을 할 수 있지만 국내 전기버스는 중간에 충전을 해야한다고 합니다. 따라서 효율면에서 중국산 전기버스가 우위를 차지하고 있는 것입니다.
앞으로의 전망
보조금 규정이 바뀌면서 중국산 전기버스의 시장 점유율 확장은 어느정도 공세를 멈출 것 같습니다. 또한 중국산 버스에 대한 안전에 대한 우려도 있고, 10년은 사용해야 하는 버스인데 생산업체가 폐업할 경우 AS를 받을 수도 없기 때문에 운수 회사 역시 걱정이 많다고 합니다. 국내 전기 버스의 기술력과 가격 경쟁력 성장, 그리고 중국산 전기버스의 안전성과 AS를 보장할 수 있는 장치가 필요하지 않을까 합니다.